본문 바로가기
라면먹는날

‘코스닥 반등 시도’ 단기 바닥 확인 신호인가?

by 라면먹는날 2025. 5. 8.
728x90
반응형
SMALL

Ⅰ. 시장 동향과 기술적 지표

4월 하순까지 700선을 내주며 연중 최저 693.76pt(3월 28일 종가)까지 밀렸던 코스닥이 5월 2일 721.86pt로 마감, 5거래일 연속 상승을 기록했다. 한 달 새 낙폭의 40%를 회복하며 ‘이중 바닥(W‑형) 패턴을 형성한 셈이다. 거래대금도 9.3 조원대까지 회복돼 가격·수급 동시 개선이 확인됐다.
기술적으로는 △20일 이동평균선(720pt) 재돌파 △일목균형표 기준 전환선·기준선 골든크로스가 나타났고, RSI(14)는 34→52로 반등 구간에 진입했다. RSI 과매도 해소+거래량 동반 상승은 전형적 ‘단기 저점 확인’ 신호다.

Ⅱ. 업종·테마별 반등 동력

바이오·제약 : 외국인은 5월 2일 에이비엘바이오·올릭스·알테오젠 등을 대거 순매수하며 코스닥 반등을 주도했다. 제약·바이오 업종 지수는 전일 대비 1.84% 상승해 실적 모멘텀 기대를 반영했다.
AI·로봇 : 레인보우로보틱스·고영 등 로봇주가 미국 AI 투자 확대 수혜주로 부각, 한 주 만에 1520% 급등했다. 외국인 주간 순매수 상위 10종목 중 2개가 로봇 테마다.
2차전지 소재 : 에코프로비엠, 더블유씨피 등은 가격 조정 이후 밸류에이션 부담이 완화되며 기관 매수세가 유입됐다.
엔터·콘텐츠 : 중국 ‘한한령 해제’ 기대감에 에스엠·와이지엔터가 2
3% 상승, 투자심리를 개선했다.
정책 수혜주 : 로봇·우주항공·수소 인프라 관련 종목이 정부 ‘신성장 3.0 전략’ 발표 수혜 기대감으로 동반 강세를 보였다.

Ⅲ. 외국인·기관 수급 반전

4월 전체로 외국인은 코스닥에서 7,900억 원 순매도했으나, 5월 첫 거래일에는 797억 원 순매수로 태도를 바꿨다. 기관도 657억 원 순매수 전환, 개인은 1,465억 원 차익 실현에 나섰다. 바이오·로봇 종목 집중 매수가 특징적이다.
주간 기준 외국인 순매수액 1위는 비에이치아이(63억 원), 2위 에이비엘바이오(19억 원)로 발전 EPC·항암 신약 등 구조적 성장 스토리를 보유한 종목이 상위권을 차지했다.
한편 공매도 재개 불안이 잔존하지만, 신용융자 잔고 증가율이 ‑3.2%로 둔화돼 과도한 레버리지 압박은 완화되고 있다.

Ⅳ. 거시·정책 변수 변화

  • 관세·교역 리스크 완화 : 미국과 중국이 5월 FOMC 직전 실무협상 채널 재가동에 합의, ‘상호관세 전면 시행’ 공포가 완화되며 위험자산 선호가 회복됐다.
  • 금리 피크아웃 기대 : 연준이 6월 회의에서 ‘데이터 의존적 동결’을 시사, 시장은 하반기 50bp 인하를 선반영 중이다. 원·달러 환율은 1,466 원→1,405 원으로 급락, 외국인 자금 유입 여건을 개선하고 있다.
  • 정책 모멘텀 : 정부가 ‘코스닥 기술특례 상장 요건 완화’와 **벤처펀드 매칭 출자 확대(1 조 원)**를 발표하면서 성장주 펀더멘털 재평가가 시작됐다.

Ⅴ. 전망과 포트폴리오

  1. 지수 레벨 : 700pt가 중기 지지선으로 자리잡으면 735‑750pt(60일선·지난 2월 고점)가 1차 목표 구간. 미국 기술주 변동성만 안정되면 상단 돌파 시도도 가능하다.
  2. 섹터 선택 : 바이오(임상 2상 이상 파이프라인 보유), AI 로봇(제조 자동화·협동로봇), 2차전지 소재(Pre‑A급 가치 대비 저평가) 비중 확대가 유효하다.
  3. 수급 포인트 :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수가 이어지는 종목군 위주로 모멘텀+실적 이중 필터 적용.
  4. 리스크 관리 : 공매도 재개 시 파생 헤지 비용 상승 가능성에 대비, KQ 200 풋옵션 1~2% 편입으로 하방 위험 대비.
  5. ESG·정책 수혜 : 정부 ‘K‑유니콘 육성’ 로드맵에 포함된 탄소‑중립·바이오헬스 스타트업은 중장기 포트폴리오의 ‘알파’가 될 전망이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