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라면먹는날

“일자리가 사라진다”  2025년 고용시장 악화

by 라면먹는날 2025. 5. 10.
728x90
반응형
SMALL

 1 | 최근 지표로 본 고용 위축의 실상

2025년 3월 청년(15 ~ 29세) 실업률이 7.5 %로 코로나19 국면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며 ‘고용 한파’가 재현됐다. 전체 실업률은 3.8 %에 그쳤지만, 고용보험 통계상 상시가입자 증가율 은 1.0 %로 둔화돼 ‘양보다 질’ 측면에서 악화 조짐이 뚜렷하다. 
국회예산정책처는 올해 취업자 순증 폭을 9만 명으로 예상, 작년(15만 9000명) 대비 40 % 이상 축소될 것이라 경고했다. 

 2 | 악화 요인: 경기·구조·정책의 삼중 충격

  1. 경기 둔화 — 미국·EU 관세 여파로 1분기 수출이 정체되고, 제조업·건설업 고용이 20개월 연속 감소했다.
  2. 구조 변화 — 디지털 전환·자동화로 단순 생산직이 급감하고, 플랫폼 경제 확대로 ‘1인 프리랜서’가 늘면서 전통적 상용직이 축소됐다.
  3. 정책·제도 리스크 — 2025년 7월 시행되는 스트레스 DSR 3단계 가 대출 한도를 조이면서 내수‑연관 일자리에 추가 압박을 가하고 있다.

 3 | 계층·산업별 취업 충격도

  • 청년층 : 취업자 10명 중 4명이 임시·일용직 또는 플랫폼 알바로 집계돼 고용의 질이 악화됐다.
  • 40대 중추 노동력 : 건설·도소매 구조조정 영향으로 두 달 연속 취업자 순감 (‑4만 9000명).
  • 제조업 : 섬유·금속가공·기계장비에서 순감이 이어져 제조 일자리 회복의 마중물이 되지 못했다. 반면 자동차·기타 운송장비는 친환경차 수출 덕에 선방했다.
  • 서비스업 : 보건·사업서비스는 인력 수요가 늘었지만 도소매·숙박음식업은 임금인상 부담으로 감원에 나섰다.

 4 | 거시경제·금융시장 파급

고용 위축 → 소득 감소 → 소비 둔화의 악순환으로 2분기 실질 GDP 성장률이 0.7 %p까지 낮아질 수 있다는 한국은행 시나리오가 제시됐다. 금리 인하 기대가 커지며 국고채 3년물이 3.0 % 아래로 떨어졌지만, 노동소득 감소는 가계부채 리스크를 증폭시켜 금융안정지수를 악화시키고 있다. 

 5 | 정책·기업·개인별 대응 전략

  1. 정책(정부)
    • 맞춤형 일자리 바우처 확대: 청년·경력단절 여성 대상 고용보조금 3,000억 원 추가 편성.
    • 산업 전환 지원: 제조업 스마트화·탄소중립 설비 전환에 대한 고용 승계 조건부 세액공제(최대 10 %).
  2. 기업
    • 리‑스킬링 투자: 정부 K‑디지털 트레이닝 연계로 AI·로봇 운영 인력 조기 확보.
    • 근로유형 다변화: 정규직 축소 대신 프로젝트 계약직+원격근무 조합으로 비용 유연성 확보.
  3. 개인(구직·재직자)
    • 전략적 재교육: NCS 기반 디지털 직무·친환경 설비 운영 자격 취득으로 이직 경쟁력 강화.
    • 포트폴리오 근로: 한 직장 의존도를 낮추고 시간제·프리랜스·창업을 혼합한 다중 소득원 확보.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