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라면먹는날

‘‑0.2 % 역성장’ 2025년 1분기 GDP 성장률, 침체인가, 기회인가?

by 라면먹는날 2025. 5. 9.
728x90
반응형
SMALL

Ⅰ. 헤드라인 수치와 거시적 의미

한국은행 속보치에 따르면 2025년 1분기 실질 GDP는 전기 대비 ‑0.2 %로 세 분기 만에 역성장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로도 ‑0.1 %로 돌아서며 2024년 4분기 +1.2 %에서 급격히 둔화됐다.
이는 ▲美 관세 쇼크로 수출이 꺾이고 ▲민간소비·투자가 동반 부진한 가운데 ▲실질 GDI까지 ‑0.4 % 감소해 소득 여건이 악화된 결과다. ‘소프트패치’에 그칠지, 기술적 경기침체(2분기 연속 마이너스)에 진입할지가 2분기 지표의 핵심 관전 포인트다.

Ⅱ. 지출(수요) 측 기여도: 무엇이 성장률을 끌어내렸나

지출 항목QoQ 성장률기여도(pp)핵심 변수
민간소비 ‑0.1 % ‑0.05 고물가·정치 불확실성에 따른 서비스 소비 위축
정부소비 +0.7 % +0.08 방위·재난예산 집행
설비투자 ‑2.1 % ‑0.18 반도체 외 전 산업 CAPEX 보류
건설투자 ‑3.2 % ‑0.20 주거·토목 동시 감소
순수출 △수출 ‑1.1 %, 수입 ‑0.6 % ‑0.05 對美 · EU 관세, 원화 약세 효과 상쇄
출처: 한국은행, 로이터       
 

민간소비는 서비스(‑0.3 %)가 4분기 만에 마이너스로 전환했고, 설비·건설투자는 금리 부담과 불확실성으로 동반 추락했다. 정부지출만이 플러스를 유지했으나 총수요를 지탱하기엔 역부족이었다.

Ⅲ. 생산(공급) 측: 산업별 득(得)과 실(失)

  • 제조업 ‑0.6 % — 자동차·석유화학이 부진을 주도; 반도체는 간신히 플러스(+0.3 %)를 유지했으나 전체 감소폭을 상쇄하진 못했다.
  • 전기·가스·수도 +1.8 % — 한파·산불 복구 관련 에너지 수요 증가 효과.
  • 서비스업 +0.2 % — 정보통신(+1.6 %)·보건복지(+1.1 %)가 방어했으나 도소매·운수 숙박은 역성장을 기록.
  • 건설업 ‑2.9 % — 공공 SOC 지출이 일부 늘었음에도 주택 착공 급감의 충격이 컸다.
    산업 구조상 제조업·건설 동시 부진은 고용·투자 파급이 크기 때문에 2분기 실업률 반등과 기업실적 하향 조정 가능성을 높인다.

Ⅳ. 정책·금융시장 파급효과

  1. 통화정책: 4월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2.75 %로 동결했으나, 연속 역성장으로 5월 인하(‑25 bp) 가능성이 급등했다. 시장은 연내 최저 2.25 % 까지 전망.
  2. 채권·환율: 성장 쇼크에 3년물 국채금리는 12 bp 급락(3.12 → 3.00 %), 원/달러는 관세 완화 기대와 맞물려 1,405 원대까지 강세 전환.
  3. 주식시장: KOSPI는 ‘정책 기대 랠리’로 2,480선을 돌파했으나, 실적 하향 사이클이 본격화될 경우 2,350선 재테스트 위험이 상존.
  4. 가계·부채: 실질 GDI 감소 → 가처분소득 위축이 이어질 경우 가계부채 상환 부담이 확대, 금융안정 스트레스 지표(DSR) 상승 우려.
  5. 재정정책: 정부는 추경(8 조 원 안팎)을 검토 중이며, SOC·R&D·방산 분야에 집중 투입해 乗(승)수 효과 극대화를 노릴 계획이다.

Ⅴ. 전망 및 대응 전략

  • 기저효과 긍정 + 외부 리스크 상존: 2024년 상반기 저성장 덕에 2분기 전기대비 플러스 전환 가능성이 높지만, 美 관세·中 경기둔화가 장기화될 경우 연간 성장률 1 % 내외에 머물 수 있다.
  • 정책 시나리오
    • 완화 가속: 기준금리 2.25 %, 추경 12 조 원 → 연간 성장률 1.4 % 까지 회복.
    • 제한적 대응: 금리 동결, 추경 미미 → 0.8 %대에 그칠 전망.
  • 기업·투자 전략
    1. 수출 다변화: 對중동·아세안 친환경 프로젝트 발굴로 관세 리스크 헷지.
    2. CAPEX 재조정: 제조업은 고부가·친환경 라인 중심으로 선별 투자, 건설사는 RE100·모듈러 주택 등 정부 ESG 인센티브 활용.
    3. 포트폴리오: 통화완화 베팅 → 채권 듀레이션 7~10년 확대, 배당주·필수소비재 40 %, 경기방어형 리츠 10 % 비중으로 방어 + 금리 하락 수혜를 동시에 겨냥.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