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1 | 지표로 본 청약 경쟁률 하락 현실
- 1순위 마감률 4년 연속 하락: 전국 민간 아파트 1순위 마감률이 2021년 55.8 %→2022년 30.1 %→2023년 19.28 %→2024년 19.26 %로 급전직하했고, 2025년 3주 차 잠정치는 **8.1 %**에 불과하다.
- ‘5 대 1’ 붕괴: 분양업계 집계 기준 1분기 평균 청약 경쟁률은 4.7 대 1로 전년 동기(9.5 대 1)의 절반 수준. 5 건 중 4 건이 1순위에서 미달돼 “청약=로또” 프레임이 깨졌다.
- 소형만 선방: 지난해 전용 60㎡ 이하 평균 경쟁률 30.2 대 1, 중대형(7.4 대 1)의 4배였으나 올해 들어 소형도 두 자릿수를 지키지 못한 단지가 속출한다.
2 | 하락을 부르는 4대 촉발 요인
- 고금리·DSR 규제: 주담대 고정 4 %대 + 7월 스트레스 DSR 3단계 시행으로 청약자 금융 여력이 급감.
- 입주 폭탄: 2025년 전국 입주 예정 36 만 호(평년 대비 +15 %)에 더해 ‘악성’ 준공후 미분양이 2만 5,117가구로 11년 8개월 만의 최대치.
- 매매가 반등·전셋값 약세: 매매 회복(서울 +0.3 %)과 전세가율 하락(전국 65 %→63 %)의 기울기 차이가 청약 매력을 희석.
- 심리 악화·관세 리스크: 관세발 경기둔화 우려로 소비·투자심리가 위축, ‘청약→입주’ 3년 래깅 리스크를 선호하지 않는 분위기 확산.
3 | 지역·면적별 디커플링
구분수도권5대 광역시지방 중소도시
1순위 마감률 | 27.4 % | 12.1 % | 4.8 % |
소형(≤60㎡) | 18.3 대 1 | 9.2 대 1 | 4.5 대 1 |
중대형(>85㎡) | 5.1 대 1 | 2.3 대 1 | 1.2 대 1 |
서울 강남 4구·신도시 소형이 평균을 끌어올리는 반면, 대구·울산·전북은 연속 전타입 미달. |
4 | 시장·금융 파급
- 건설사 유동성: 미달→미분양 전환 속 PF 조달 금리가 70 bp 상승, 지방 중견사의 ‘빨간불’이 확산.
- 은행 건전성: 청약자금대출·중도금대출 회수가 지연돼 건설 후순위채·건전성비율(우발채무) 압박.
- 실수요·무주택자: 청약 통장 무용론이 번지며 1분기 신규 가입 22 만 좌(전년 대비 –38 %)로 급감.
- 정책 혼선: 공급 드라이브(3기 신도시·도심 복합)와 시장 냉각 사이의 간극이 커져 ‘분양가상한제 조정, 추가 인센티브’가 검토되지만 자칫 또 다른 미분양 누증을 낳을 수 있다는 지적.
5 | 전망 및 대응 전략
- 단기(3~6개월): 금리 인하 폭이 25 bp 내외에 그칠 경우 경쟁률 추가 하락(1순위 마감률 한 자릿수) 가능성. 준공후 미분양이 ‘2만 가구→2.3만 가구’를 넘어서면 가격 인센티브 없는 분양은 흥행이 어렵다.
- 중기(6~12개월): 입주 물량 피크(’25 H2)가 지난 뒤 금리 완화 + 전셋값 바닥 확인 시 소형·도심 직주근접 단지 중심의 차별적 회복.
- 전략 키워드 — 3R
- Risk Filter: 지방·비역세권·대단지 장기 공사 물량 피하기, 청약 전 PF·HUG 보증건전성 체크.
- Return Focus: 도심역세권 소형·중도금 무이자·전매제한 1년 미만 단지 선별, 청약 대신 분양권 급매 매입 고려.
- Reform Policy: 정부는 분양가상한제 연동형 탄력제·중도금 대출 LTV 완화(60→70 %) 등 공급·수요 균형형 장치 마련이 시급.
요약: 청약 경쟁률 하락은 고금리·입주 과잉·심리 악화가 맞물린 복합 냉각 신호다. 실수요자는 ‘분양=로또’ 환상을 버리고 입주 시기·중도금 조건·입지 3대 필터로 옥석을 가려야 하며, 투자자는 ‘레버리지 청약’ 대신 현금 흐름형 자산과 급매 분양권에 우선순위를 두는 포트폴리오 전환이 필요하다.
728x90
반응형
LIST
'라면먹는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애최초 특별공급” 청년·신혼 최후의 우선분양 창구인가? (0) | 2025.05.13 |
---|---|
수도권 집값 조정, 어디까지 왔나? (0) | 2025.05.13 |
“역(逆)전세난 2025” 보증금 폭탄의 실체 (0) | 2025.05.12 |
‘54% 선도 무너졌다’ 전세가율 하락이 보내는 경고음 (0) | 2025.05.12 |
“6만 8,920가구 미분양 · 전국 0.01%”, 2025년 부동산 위기 (0) | 2025.05.12 |